|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
| 3 | 4 | 5 | 6 | 7 | 8 | 9 |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ocker container
- DevOps
- sudo
- docker-compose
- ubuntu
- 드라이버
- VPN
- ssh
- 도커
- window size
- 리눅스
- 루비
- 우분투
- AWS
- golang
- Openswan
- VMware
- docker
- VIM
- 패키지
- docker registry
- driver
- 방화벽체크
- port
- RUBY
- QT
- Linux
- ssh command
- opsworks
- Chef
- Today
- Total
목록2012/06 (9)
구리의 창고
Postgresql의 확장 모듈에 위도, 경도로 거리를 계산해주는 모듈이 있다. 아마 따로 function을 만들어놓고 사용하는 것 같다. 여기에는 earth라는 자료형이 추가되고 이것 저것(?)을 하게 돼있다. postgresql 공식 문서에 설치 방법이 제대로 나와있지 않다ㅠㅠ 1. postgresql-contrib 설치하기yum install postgresql-contrib 2. 폴더 이동하기cd /usr/share/pgsql/contrib 3. 필요한 모듈 설치하기 (cube, earthdistance){database}에는 이 모듈을 사용 할 데이터베이스명을 적어준다.psql {database} -f cube.sql psql {database} -f earthdistance.sql 4. 사용방..
Ruby ORM 중에서 DataMapper를 사용하다보면 1:1 관계 설정 시에 has one과 belongs_to가 둘 다 있는걸 볼 수 있다. belongs_to 와 has 1 내가 생각하기엔 스키마 상으로는 비슷비슷 할 거같은데 의미상으로 다르다. Memer와 Profile이라는 모델이 있다고 가정하고 Member는 하나의 Profile을 반드시 가진다. 그러면 Member는 Profile을 has 1 하는 것이고 Profile은 Member를 belongs_to 하는 것이다. 어째든 동작상으로는 거의 동일한데 이걸 알아야한다 has 1을 해보고 엉? 안되네? 라고 생각 할 수 있는데 Member에서 has 1, :profile 을 해주면 Profile에 foreign key가 생기고Profile에..
http를 이용해 api를 만들다보면 작업시간이 길어져서 http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돌리면 반응시간도 빨라지고 작업도 잘 돌아간다. Ruby gem 중에 resque라는 것을 사용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큐를 사용 할 수 있다. reque는 redis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설치시 redis도 같이 설치해줘야한다. railscast에 실제로 사용하는 가이드가 나와있다. http://railscasts.com/episodes/271-resque?view=asciicast 나도 잘 모르지만 아주아주 간략하게 설명하면 Reque가 다수의 worker를 만들어주고 자동으로 worker들한테 일을 할당해주는 것이다. 아래 코드는 간단한 샘플 코드이다. require..
Unit Test를 하다보면 성공/실패를 판단 할 때 색깔이 나오면 아주 좋다. 반복된 테스트에 사실 메시지를 자세히 읽기도 귀찮다 Rails에서는 기본으로 test 결과에 색깔을 입히지 않는데, gem에서 설치 할 수 있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redgreen 을 설치하면된다. gem install redgreen 그 후에 프로젝트 root에 있는 Gemfile에 gem 'redgreen'을 추가해주고 bundle install로 적용을 시켜준다. 다음은 test/test_helper.rb 에 들어가서 require 'redgreen'을 추가해준 후 테스트를 실행해본다.
CentOS에서 yum으로 패키지 관리를 하다보면 분명히 설치된 패키지임에도 불구하고 스크린샷과 같이 의존성에러를 틱틱 뱉을 때가 있다. 해결책으로 나와있는 --skip-broken을 해봐도 역시 안된다. 저걸 실행해서 해결되는거 본적이 없다. 이럴 때는 의존성에 문제되는 패키지를 재설치해보면 해결이 되곤한다. (100%는 아니다) 지금 상황에서 문제된 패키지는 kernel-headers 이니 yum reinstall kernel-headers를 쳐준다
Rails 3에서는 자체에서 CSRF protection을 해준다고한다. 아파치 로그를 살펴보면 WARNING: Can't verify CSRF token authenticity 와 같이 떠있다. 그래서 session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데 두 가지 해결 방법이 있다. CSRF protection을 꺼버리던가(나는 그냥 이게 편하던데) ajax 요청시 헤더에 csrf token 값을 넣어서 보내주는 것이다. 보통 rails가 만들어주는 기본 레이아웃에 라는게 존재하는데 이와 같이 자동으로 token을 만들어준다. common.js와 같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ajaxSend를 아래와 같이 바인딩해주던지, $.ajaxSetup({ beforeSend: function(xhr) ..
Rails3 을 사용하다가 Httparty를 사용 할 일이 생겼다. 문서에 있는데로 requre 'rubygems' require 'httparty' 를 하려는데 에러가나면서 httparty를 찾을 수 없다고한다. irb 에서 콘솔로 require 'httparty'를 해봤는데 설치는 정상으로 돼있다. 이런 경우에는 Gemfile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줘야한다. Gemfile는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에 있다. gem 'httparty' 그러고 나서 웹서버를 재실행하면 permission denied 'Gemfile.lock' 이란 에러가 날 수도 있는데 gem 에서 bundle을 설치하고 작업을 몇 가지 해줘야한다. gem install bundle bundle install
보통 리눅스 minimal 버전을 설치하면 네트워크고 뭐고 아무 것도 잡혀있지 않다. 그래서 처음에 설정해줘야 할 것이 있는데, NAT 환경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한다. VMWare를 정상적으로 설치했다면 Virtual Network Editor라는게 설치돼있을 것이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설명VMnet0 은 Bridge에 사용VMnet1 는 네트워크 모드 중 Host-only에 사용 - 인터넷 안됨VMnet8 은 NAT 모드로 사용 할 네트워크 가상 장치이다. 이 중 NAT모드를 찾아보기 바란다 여기서는 VMnet8 이다. 해당 네트워크 선택 후 NAT Settings를 클릭하면 또 하나의 팝업이 뜬다. 이제 우리가 리눅스 서버에 적용 할 아이피 정보들이다. Gateway IP를 ..
여러 경우가 있겠지만 train 시키는 과정 중 mftraining을 사용 하는 경우가 있다. glibc detected가 나오면서 stack trace가 찍히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font_properties 파일에 있는 font 이름이 잘못돼서 나오는 경우다. kor.dotnum.exp0.tr 이란 인자로 명령어를 수행했으면 font_properties 파일에는 dotnum 0 0 0 0 0 처럼 맞게 써있어야한다. 만약에 이게 달라지면 에러가 뙇!!! 왜 예외처리를 안해논건지 ㅠㅠ...